본문 바로가기

Previous/Modification of image

Image stacking 時, flat frame의 처리

    천체사진은 전자기기의 발달로 사진 또한 디지탈화 되면서 촬영뿐만 아니라 후보정도 굉장히 달라졌다. 특히 stack이라는 개념이 생겨났다. stack은 보통 여러개의 frame들을 가지고 하는데, 크게 light, dark, flat, bias 4가지 종류가 있다. 그 중에서 flat frame은 렌즈의 비네팅으로 인한 주변부 광량의 저하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주변부의 밝기가 중앙부만큼 올리는데 중요한 정부를 제공해준다. 한편, DSLR 렌즈의 경우에는 Raw로 찍었다면, 그 안에 사용된 렌즈의 정보까지 담겨져 있어서 소프트웨어적으로 비네팅 및 왜곡을 잡을 수 있다.

  앞에서 밝혔다시피 flat frame은 렌즈, 특히 망원경의 비네팅을 잡는데 주로 사용되며 주변부 왜곡(상 늘어짐)은 플래트너로 잡아야한다. 하지만 카메라 렌즈의 경우에는 비네팅과 왜곡에 대한 정보를 Raw의 보정 프로그램에 제공해서 소프트웨어적으로 비네팅과 왜곡을 동시에 잡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험은 카메라 렌즈를 통해서 천체사진을 찍었을 때, 소프트웨어로 비네팅 및 왜곡을 잡은 것과 flat frame을 적용시켜서 비네팅을 잡은 것을 비교분석 해보았다. 

 

ACR로 렌즈의 비네팅 및 왜곡 보정

  위 사진은 Raw로 촬영 한 다음 CS6의 Adobe Camera Raw, ACR로 렌즈의 비네팅 및 왜곡을 소프트웨어로 보정 후 Tiff로 변환, DSS로 stacking 하고 CS6로 후보정 한 것이고

 

Flat frame 사용

  위 사진은 Raw로 촬영 한 다음 ACR로 수차를 보정하지 않고 Tiff로 변환, DSS로 flat frame까지 포함시켜켜 stacking 하고 CS6로 후보정 한 것이고

 

Flat frame 미사용(Bright frame만 사용)

  끝으로 위 사진은 reference로서 Raw로 촬영 한 다음 ACR로 수차를 보정하지 않고 Tiff로 변환, flat frame 없이 DSS로 stacking 하고 CS6로 후보정 한 것이다.

  세 결과를 비교해보면 소프트웨어로 보정 한 것과 flat frame을 사용한 것 모두 비슷한 수준의 비네팅 억제력을 보였다. 하지만 소프트웨어로 보정한 경우엔 렌즈의 왜곡까지 잡아주었다. 광각렌즈로 갈수록 이 효과는 더 극대화 될 것이다. 따라서 이번 결과만 놓고 본다면 카메라 렌즈는 flat frame을 사용 하는 것보다 ACR이나 DPP를 사용하여 보정하는게 더 낫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